전체 글8 무생채 만드는법 무생채 참기름 싹 둘러 꿀맛 무생채 비빔밥 가을이면 맛있는 무가 제철입니다. 단맛이 더욱 올라와 놓치지 말고 맛있는 무 요리를 해야 할 때네요. 어렸을 적 어머니께서는 생 무도 달큼하고 맛있다며 껍질만 살짝 벗겨내어 생으로 드시기도 하였거든요. 만드는법은 간단하지만 목에도 좋고 비타민 C도풍 부하며 소화촉진의 효능까지 있는 맛있는 무! 오늘은 새콤달콤 하게 무쳐서 무생채 반찬으로도 먹고 비빔밥으로 먹어도 맛있는 무생채 만드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생채 만드는법 무생채 만드는법 : 재료 무: 500g 고춧가루: 2 밥 숟가락 다진 마늘: 1 밥 숟가락 다진 생강: 1/2 밥 숟가락 액젓: 2 밥 숟가락 소금: 1/2 밥 숟가락 설탕: 2 밥 숟가락 식초: 2 밥 숟가락 파: 약간 (생략 가능) 통깨: 약간 무생채 만드는법: 재료 준비 1. 무.. 2022. 10. 26. 연근조림 만드는법 쫀득한 연근조림 단짠단짠 밥도둑 아시아 남부와 호주 북부가 원산지인 연꽃은 진흙 속에서도 단아한 꽃을 피워내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지요. 연꽃의 뿌리인 연근은 비타민 C, 칼륨, 섬유질, 칼슘이 풍부하여 몸에도 아주 좋은 식재료입니다. 연근에는 아릿한 맛과 전분성분이 있어서 연근조림 조리 준비 시 잘 제거해 줘야 합니다. 연근조림의 아삭한 맛이 싫다는 분들도 있는데 조리 방법에 따라 쫀득한 연근조림 또한 가능하답니다. 단짠단짠 밥도둑 연근조림 만드는법 함께 배워보겠습니다. 연근조림 만드는법 : 재료 연근 연근 400G (슬라이스나 통 연근) 식초 1 밥숟가락 소금 1/2 밥숟가락 연근조림 단짠단짠 양념 간장 5 밥숟가락 설탕 1 밥숟가락 올리고당 2 밥숟가락 맛술 1 밥숟가락 물 300ml 식용유 2 밥숟가락 참기름 1 밥숟가.. 2022. 10. 14. 땅콩 삶는법 찌는법 땅콩버터 만들기 지역에 따라 9월 말부터 10월 말까지가 햇땅콩이 수확되는 기간이라고 해요. 어떤 작물이든 제철에 먹는 게 맛있는 만큼 햇땅콩이 수확된 가을이니 맛있게 먹어줘야겠죠? 햇땅콩은 아직 땅에서부터 품고 올라온 수분이 땅콩 안에 그대로 들어 있어 부드럽거든요. 신선할 때는 생으로 먹어도 달큼하고 고소하며 특유의 생땅콩 맛이 있지만 역시 볶거나 삶아서 먹을 때 그 진가를 발휘하는 것 같아요. 간식으로도 좋고 반찬으로도 좋은 비타민 B와 E가 풍부해 몸에 좋은 견과류 땅콩, 오늘은 땅콩 삶는법 찌는법 그리고 땅콩버터 만들기를 알아보겠습니다. 땅콩 삶는법 찌는법 햇땅콩이 나왔을 때는 뭐니 뭐니 해도 삶거나 쪄먹는 게 제일 좋아요. 땅콩이 신선해야 삶거나 쪘을 때 맛있거든요. 이 시기가 지나면 맛이 떨어지니 꼭 한번 .. 2022. 10. 13. 간장게장 담그는법 황금레시피 숙성하는 법 게간장 숫게가 제철인 가을입니다. 꽃게는 봄과 가을이 제철인데 봄은 암게, 가을 숫게가 제철이라고 합니다. 무슨 음식이던 제철에 먹어야 제일 맛있습니다. 집에서 건강하게 간장게장 만드는 게 더욱 좋겠지요. 오늘은 대표적인 밥도둑 간장게장 담그는법 황금레시피 및 게간장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장게장 담그는법 : 준비물 꽃게 5마리 해산물인 꽃게는 싱싱한 게 좋다고 보통 생각이 들지만 꽃게는 이것저것 가리지 않는 잡식성이고 또한 특성상 바닥을 기어 다니거나 뻘속에 있는 시간이 많아 기생충의 우려가 있다고 하네요. 날것으로 먹는 것이니 만큼 신선한 꽃게를 급랭하여 기생충들이 제거가 된 냉동꽃게를 사용해주시는 게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양념간장 진간장 500ml, 물 650ml, 사이다 350ml, 다시마.. 2022. 10. 9. 이전 1 2 다음